노년 고관절 골절, 수술 주저마세요! > 건강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문의
상담

건강정보

건강정보를 전해드립니다.

노년 고관절 골절, 수술 주저마세요!

작성일2018-03-23

본문

수술 지연 시 적기 수술 받은 환자보다 사망률 11.5%p

을지대학교병원 차용한 교수팀 SCI급 논문 발표



고관절 골절상을 입은 노인 환자의 경우 수술을 조금만 늦게 받아도 사망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을지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차용한 교수(정형외과)팀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총 10년 동안 고관절 골절로 수술 받은 60세에서 107세의 환자 1,2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골절 진단을 받은 지 2일 이내에 수술 받은 환자군보다 2일 이후 수술 받은 환자군의 사망률이 11.5%p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 중 2일 이내에 수술 받은 환자는 402, 2일 이후에 수술 받은 환자는 888명으로 전체의 68.8%가 병원을 늦게 방문하거나 타 병원으로의 전원 등을 이유로 제때 수술을 받지 못했다.

 

2일 이내에 수술 받은 환자 중 사망환자는 61명으로 전체의 15.2%를 차지했으며수술 후 30일 이내 0.7%, 60일 이내 2.0%, 3개월 이내 3.0%, 1년 이내 9.5%의 사망률을 나타냈다반면 2일 이후에 수술 받은 환자 중 사망환자는 237명으로 전체의 26.7%를 차지해 비교군보다 약 11.5%p 높았으며사망률도 수술 후 30일 이내 2.5%, 60일 이내 4.5%, 3개월 이내 5.2%, 1년 이내 14.5%로 집계돼 비교군보다 평균 2.9%p 가량 높았다.

 

차용한 교수는 늦은 방문이나 전원문제뿐만 아니라 환자의 전신상태나 내과적 질환의 악화항응고제 복용 등으로 수술이 지연되면 사망률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고령 환자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민하는 경우가 많지만 결국 수술적 치료가 궁극적 치료수단인 만큼 적시에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고 말했다.

 

한편 차 교수팀의 이 논문은 고관절 골절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의 지연 사유와 장·단기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causes of surgical delay on early and late mortality in patients witn proximal hip fracture)”이란 제목으로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899
어제
2,578
최대
3,527
전체
1,331,152
그누보드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