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미투(Me too)' 너와 함께(With You) 극복하는 방법은 > 건강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문의
상담

건강정보

건강정보를 전해드립니다.

너도나도 '미투(Me too)' 너와 함께(With You) 극복하는 방법은

작성일2018-03-23

본문

우리사회는 지금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운동으로 인한 충격과 분노 속에 살고 있다성폭력 고발 캠페인인 미투운동은 법조계를 시작으로 연예계교육계정치계 등 사회 전반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문제는 지금까지 밝혀진 것들은 빙산의 일각이라는 우려가 끊이질 않는다는 점이다수면위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은 지금도 마음의 짐을 짊어지고 하루하루 힘겨운 숨을 내쉬고 있을지 모른다.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지애 교수는 성 관련 문제에 대한 트라우마는 일상생활 중에는 떠올리지 않으려 의식적으로 노력하며 지낼 지라도비슷한 상황을 목격하거나 관련 뉴스를 접하는 등 당시 기억을 떠올릴 만한 상황이 닥치면 다시금 그때의 상황이나 감정이 깊숙한 곳에서부터 되살아나기 때문에 호전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릴 뿐더러 완벽히 치유되기도 어렵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해결을 위해 나서야한다고 말한다.

 

근심·걱정·불안·초조를 넘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질 수도

성 관련 문제를 겪은 사람들의 경우자신이 겪은 일과 비슷한 일 또는 소식을 접했을 때 나타낼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은 근심걱정불안초조 등이다보통은 이러한 트라우마도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하게 된다그러나 자연회복이 되지 않고 증상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낼 힘이 약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문제는 심각해질 수 있다.

특히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은 다른 기억과는 달리 온전하게 남아있기 보다는 왜곡축소 혹은 확대된 단편의 기억으로 조각조각 남아있게 된다잘 소화되지 않은 트라우마 기억에 갇혀 있을 경우 감정 회피분노와 피해의식수치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또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을 두려워하거나 공격적으로 변하기도 한다만약 이런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우울증뿐만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판단하기도 한다그리고 대개 성 관련 트라우마는 한 개인에게 엄청난 고통이기 때문에 스스로 치유되기 보다는 만성적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남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지애 교수는 심하게는 공황발작이나 환청 등의 지각 이상이나 공격성 및 충동조절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며 고통스러운 순간을 이겨내기 위해 알코올에 의존하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등 잘못된 선택을 하지 않도록 가족과 전문의의 도움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치료와 예방마음가짐이 최우선

성희롱성추행성폭행 등 성 관련 문제의 피해자들은 사건이 발단된 것 자체가 자신의 잘못이라고 자책을 하거나피해사실이 세상에 드러나는 것이 두려워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고 혼자 앓고 마는 경향이 있다하지만 일시적인 안정을 찾기 위한 이러한 회피는 결국 회복을 막게 되고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의 가장 큰 방해요인이다자신의 어려움에 대해 알려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지애 교수는 피해자라는 이름으로 낙인찍힌 채 살아가는 것에 대한 부담이나 두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지속적인 회피는 악몽 같은 기억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고통이 심할 것이라며 미투운동 등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동조공감 등의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본인 스스로가 긴 터널을 헤쳐 나오게 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조언한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당사자가 경험한 사건과 그 여파에 대해 어떤 부분에서 불안해하고 혼란스러워 하는지를 파악하고어떤 부분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또 해당 기억에 대해 공포를 덜 느낄 수 있도록 부정적인 느낌과 생각을 조절해나가고 문제 행동을 바꿔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가족이나 친구들의 도움도 필요하다당사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공감해주고활동적이고 적극적인 취미활동이나 신체활동을 함께 즐김으로서 조금씩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내용출처: 을지대학교병원 홍보팀 보도자료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965
어제
2,578
최대
3,527
전체
1,331,218
그누보드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